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 와중에 진보·보수 논란이 불거졌다. 그는 불출마 선언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이같이 심정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 와중에 진보·보수 논란이 불거졌다. 그는 불출마 선언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이같이 심정을 토로했다. “인명진 비대위원장을 만났더니, 앉자마자 내게보수에 속합니까, 진보에 속합니까질문을 하더라. 이건 적절치 않은 질문 아닌가. 누가 뭐래도 나는 보수다. 그런데 그걸 구분하는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 제가 그런 부분에 환멸을 느끼는 것이다.” 

 

반기문은진보냐, 보수냐라는 질문을 예상한 지난달 한국으로 오는 비행기에서나는 진보적 보수주의자라고 밝힌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그의 대답을 진지하게 수용하지 못한다. 개그맨 배칠수는따뜻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독재자 비교하며 조롱했다. 정치권도 시비를 건다. 이쪽과 저쪽을 가지려는 기회주의적 태도 아니냐. 역시기름장어답다.

 

보수논객 류근일씨는 반기문이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전략을 쓰고 있다며 이렇게 말한다. “사실이라면 어디 해보라고 말해주고 싶다. 무슨 재주가 있기에 그럴 수가 있을까? 무슨 신비스러운 주술이 있기에 사드 배치 반대·탈미친중·개성공단 폐쇄 반대와, 사드 배치 찬성·한미동맹 강화·개성공단 폐쇄 지지·햇볕-퍼주기 반대를 한데 아우르겠다는 건지, 정말 구경이라도 하고 싶다.” 

 

반기문은 인터뷰에서 이렇게 반박했다. “어떻게 모든 사람을진보냐 보수냐 나누나. 유럽에서도 사회주의 지도자들이 보수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보수당이라고 해서 그런 정책만 내놓고 하는 아니다.”진보적 보수주의는 진보적 우파, 중도우파라고 바꿔서 부를 있다. 이념의 종주국 서유럽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용어는 중도우파이다. 중도우파란 우파이면서 좌파의 장점을 부분적으로 가져다 쓰는 입장이다. 반기문과 윤여준 그리고 서유럽에서 사용하는 개념이 일맥상통함을 있다. 이념의 세계를 논리만으로 접근하면 미망에 빠져들기 십상이다. 사례를 몇가지 들어보자

 

표창원 의원은 자신이 보수주의자라면서 근거로 영국 유학 시절의 경험을 들었다. 영국에서 보니 보수주의자들이 정의를 말하더라. 그러니 정의는 보수의 덕목이고 정의를 주장하는 자신도 보수주의자이다. 이게 맞는 말일까. 모르고 하는 말이거나 전략적으로 쓰는 말로 보인다. 영국의 보수당과 보수주의는 오랫동안 중도화 과정을 거치면서 좌파의 장점인 정의를 가져다 쓰고 있다. 100 전부터 쓰고 있어서 본래 누구의 것인지 저작권을 따지기도 어렵게 됐다

 

이처럼 서유럽의 중도우파는 좌파의 장점 여러가지를 빌려다 사용한다.

중도좌파도 마찬가지다. 홍세화씨는 관용을 말하면서 사회주의자를 자처한다. 실제로 프랑스 사회당의 강령에 관용이 들어있다. 그러니 관용은 좌파의 덕목인가. 프랑스의 극좌 공산당과 달리 사회당은 중도화 과정을 거치면서 우파의 장점들을 가져다 쓰고 있다. 관용은 그중의 하나이다

 

우리 사회는 남북 분단 때문에 이념 연구가 매우 뒤처졌다. 이념의 이중개념성 또는 중도수렴현상에 대한 이해가 너무 부족하다. 이런 몰이해는 현실 속에서 거칠게 드러난다. 좌나 어느 한쪽으로 신념을 결정하면 이념의 회로를 따라 좌의 가치 또는 우의 가치만을 선택하는 태도가 일관된 올바름일까. 그것은 다름 아닌 극좌 극우이다.

류근일과 같은 보수주의자들에게 말한다. 보수와 진보를 아우른다는 뜻은 사드 배치를 찬성하며 동시에 반대하는 정신병적인 상태가 아니다. 예를 들면 사드 배치에 찬성하며 ·미동맹 강화에 동의하지만 개성공단 폐쇄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남성에겐 여성성이, 여성에겐 남성성이 일부 섞여 있게 마련이다. 이것이 자연의 법칙 아닌가. 진보적 보수주의 논란을 지켜보면서 이념의 혼란이 관념의 착종에 그치지 않고 현실 문제에 개입해서 정치를 망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이념은 본래 복잡한 현실을 알기 쉽게 재단하는 잣대인데 우리 사회에서는 현실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악역을 맡고 있다.  “인명진 비대위원장을 만났더니, 딱 앉자마자 내게 ‘보수에 속합니까, 진보에 속합니까’ 질문을 하더라. 이건 적절치 않은 질문 아닌가. 누가 뭐래도 나는 보수다. 그런데 그걸 구분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 제가 그런 부분에 환멸을 느끼는 것이다.” 

 

[기고]진보는 진보답고 보수는 보수다워야 하나

반기문은 ‘진보냐, 보수냐’라는 질문을 예상한 듯 지난달 한국으로 오는 비행기에서 “나는 진보적 보수주의자”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그의 대답을 진지하게 수용하지 못한다. 개그맨 배칠수는 “따뜻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독재자”와 비교하며 조롱했다. 정치권도 시비를 건다. 이쪽과 저쪽을 다 가지려는 기회주의적 태도 아니냐. 역시 ‘기름장어’답다.

 

보수논객 류근일씨는 반기문이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 전략을 쓰고 있다며 이렇게 말한다. “사실이라면 어디 한 번 해보라고 말해주고 싶다. 무슨 재주가 있기에 그럴 수가 있을까? 무슨 신비스러운 주술이 있기에 사드 배치 반대·탈미친중·개성공단 폐쇄 반대와, 사드 배치 찬성·한미동맹 강화·개성공단 폐쇄 지지·햇볕-퍼주기 반대를 한데 아우르겠다는 건지, 정말 한 번 구경이라도 하고 싶다.” 

 

반기문은 인터뷰에서 이렇게 반박했다. “어떻게 모든 사람을 ‘진보냐 보수냐’로 나누나. 유럽에서도 사회주의 지도자들이 보수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보수당이라고 해서 그런 정책만 내놓고 하는 건 아니다.”진보적 보수주의는 진보적 우파, 중도우파라고 바꿔서 부를 수 있다. 이념의 종주국 서유럽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용어는 중도우파이다. 중도우파란 우파이면서 좌파의 장점을 부분적으로 가져다 쓰는 입장이다. 반기문과 윤여준 그리고 서유럽에서 사용하는 개념이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다. 이념의 세계를 논리만으로 접근하면 미망에 빠져들기 십상이다. 사례를 몇가지 들어보자. 

 

표창원 의원은 자신이 보수주의자라면서 근거로 영국 유학 시절의 경험을 들었다. 영국에서 보니 보수주의자들이 정의를 말하더라. 그러니 정의는 보수의 덕목이고 정의를 주장하는 자신도 보수주의자이다. 이게 맞는 말일까. 잘 모르고 하는 말이거나 전략적으로 쓰는 말로 보인다. 영국의 보수당과 보수주의는 오랫동안 중도화 과정을 거치면서 좌파의 장점인 정의를 가져다 쓰고 있다. 근 100년 전부터 쓰고 있어서 본래 누구의 것인지 저작권을 따지기도 어렵게 됐다.

 

이처럼 서유럽의 중도우파는 좌파의 장점 여러가지를 빌려다 사용한다.

중도좌파도 마찬가지다. 홍세화씨는 관용을 말하면서 사회주의자를 자처한다. 실제로 프랑스 사회당의 강령에 관용이 들어있다. 그러니 관용은 좌파의 덕목인가. 프랑스의 극좌 공산당과 달리 사회당은 중도화 과정을 거치면서 우파의 장점들을 가져다 쓰고 있다. 관용은 그중의 하나이다. 

 

우리 사회는 남북 분단 때문에 이념 연구가 매우 뒤처졌다. 이념의 이중개념성 또는 중도수렴현상에 대한 이해가 너무 부족하다. 이런 몰이해는 현실 속에서 거칠게 드러난다. 좌나 우 어느 한쪽으로 신념을 결정하면 이념의 회로를 따라 좌의 가치 또는 우의 가치만을 선택하는 태도가 일관된 올바름일까. 그것은 다름 아닌 극좌 극우이다.

류근일과 같은 보수주의자들에게 말한다. 보수와 진보를 아우른다는 뜻은 사드 배치를 찬성하며 동시에 반대하는 정신병적인 상태가 아니다. 예를 들면 사드 배치에 찬성하며 한·미동맹 강화에 동의하지만 개성공단 폐쇄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남성에겐 여성성이, 여성에겐 남성성이 일부 섞여 있게 마련이다. 이것이 자연의 법칙 아닌가. 진보적 보수주의 논란을 지켜보면서 이념의 혼란이 관념의 착종에 그치지 않고 현실 문제에 개입해서 정치를 망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이념은 본래 복잡한 현실을 알기 쉽게 재단하는 잣대인데 우리 사회에서는 현실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악역을 맡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