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좌에서 극우로 김영환 이야기

 

  

우리나라 80년대 운동권의 신화적인 인물이었던 김영환씨는 매우 흥미있는 연구대상이다. 그는 한국학생운동권에 주체사상을 처음으로 소개한 책자 강철서신의 저자였다. NL(민족해방파) PD(민중민주파)로 나뉘어진 좌파운동권에서 NL의 창시자 또는 거봉이라 할만하다. 그가 사람들을 또 한번 놀라게 한 것은 90년대초이다. 북에서 보내준 잠수함을 타고 평양에 갔다 왔다. 007영화의 한 장면같다. 우리 사회에는 정말 별 일이 다 있다. 그런데 그가 세 번째 놀라게 했다. 월북이후 180도 전향해서 좌파의 진지에서 동료들을 이끌고 나왔다. “뉴라이트”가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다.

  

주체사상의 대부격인 김일성대학 총장을 역임했던 황장엽도 비슷한 경우다. 그도 90년대 남한으로 망명한 뒤에 김정일정권 타도의 선봉에 서있다. 외국에서도 이같은 사례를 찾을 수 있다. 90년대 프랑스 대통령선거때 극우파가 15%씩을 얻었는데 그중 상당수가 공산당 출신의 표라고 한다. 

  

극좌에서 극우로 이동하게 만든 동력의 실체는 무엇일까? 극과 극은 통하는 걸까? 이에 대한 정치적인 분석은 이미 나와있을 것같아 여기서는 인문적인 접근을 해보려한다. 

  

김영환은 젊은 시기에 흔히 겪는 실존주의 열병을 겪을 시간도 없었던 것같다. 이미 고교시기에 자유센터에 가서 반공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영화를 보고 거꾸로 인식전환을 이뤘다고 고백한 바 있다. 그뒤에 북한을 남한사회의 대안으로 삼고 외눈박이처럼 한쪽 눈으로만 보고 살아왔을 것이다. 

  

한쪽으로 치우치면 일목요연하게 세상이 잘 보일수 있다. 이론가로서 좌고우면 안해도 되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좌우 균형을 잃은 인간존재는 불안정한 상태였을 것이다. 비타민중 어느 하나가 결핍된 사람에게 병증이 나타나는 것과 같다. 

  

김영환이나 황장엽 그리고 프랑스 공산당 당원들 그들은 모두 극좌였다. 그들처럼 편향된 의식을 가지고 이 세계를 살기에 현실적인 생활인으로서 매우 불편하지 않았을까. 아무리 이상적인 평등주의자이고 사회정의를 우선하는 사람이라고 해도 인지상정상 자신과 가족의 안위를 염려하는 마음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두가지가 작던 크던 존재내에서 끊임없이 갈등을 일으켰을 것이다. 이런 억압이 쌓이고 쌓여서 어느 순간에 극적인 변화에 이르게 된 것이 아닐까. 양적인 변화가 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듯이. 

  

김영환에게도 이같은 변화가 찾아왔다. 이론과 관념으로 익힌 북한과 직접 목도한 북한과의 큰 차이가 계기가 됐을 것이다. 그래서 비워진 절반의 부분에 굉음을 내며 절벽이 무너지듯이 채워지는 계기가 됐던 것은 아닐까. 

  

프로이트의 저서 “꿈의 분석”을 보면 꿈은 반대라고 한다. 무의식은 의식의 방향과 반대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프로이트는 이것을 존재의 균형잡기로 설명한다. 이같은 균형을 유지하려는 힘이 한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친 존재를 다른 쪽으로 끌어내는 동력이 된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극과 극은 통한다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인간존재적인 현상이다.  

  

김영환 황장엽등이 극좌에서 극우로 이동한 사람들이라면 드물지만 극좌와 극우를 동시에 한 존재에서 품었던 사람들도 있다. 김일성이나 폴포트가 그렇다.(어떤 사람 6번글 참조) 이들은 모두 자기 존재의 내습을 받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