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움을 많이 겪으면 우파가 된다

 

 

직장상사중에 김상무라는 지독히 보수적인 기독교인이 있었다. 보통의 기독교인들중에는 진보적인 인사들을 찾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극단적인 기독교 신자들중에 진보는 거의 없는 것같다. (기독교와 좌파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불편한 관계였다. 마르크스는 종교는 아편이라고 말했을때 기독교를 염두에 둔 것이었으리라.) 

 

교회 장로인 김상무는 식사하면서도 상대방이 기독교 신자인지 살피지도 않고 묵상기도를 해서 불편하게 만들었다. 그는 사람들을 보면 천주교를 믿건 불교를 믿건 가리지 않고 교회에 나오라고 말해 주위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언젠가 다들 퇴근하고 난 뒤 빈 사무실에서 그와 둘이서 몇시간동안 토론을 한 적이 있었다. 그는 나보고 교회 나오라 설득하고 나는 그에게 우파가 뭐고 좌파가 뭔지 설명하려 했다. 그리고 그것을 알고 나서 그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과 맹목적으로 보수가 되는 것은 다르다고 말했다. 물론 소통 불능이었다.   

 

어느날 그가 아들상을 당했다. 나는 깜짝 놀라서 동료와 함께 장례식장을 찾아갔다. 그런데 그는 의외로 어둡지 않은 표정으로 손님을 맞고 있었다. 저녁을 먹으면서 그와 같은 교회에 다니는 신자들에게서 비극적인 아들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나이 열다섯에 죽은 아들은 장애아였는데 뇌관련 중증장애였다. 15년동안 집밖에 한번 나가지 못하고 할머니의 등에 엎혀 살다가 세상을 떴다는 것이다. 그와 몇해동안 같은 직장을 다니면서 이런 사실을 비로소 알게 됐다. 

 

상가를 나오면서 누구나 그와 같은 처지에 있다면 김상무처럼 그렇게 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극복할수 없는 불행, 매일 같이 반복되는 고통, 비관적인 전망이 반복되면 인간은 어떻게든 상황에 대응한다. 그런데 어떻게 대응하며 변하는 것일까. 먼저 인간으로서 극복할 수 없는 시련에 처하면 신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 교회에 찾아가서 울면서 통성기도하는 신자가 될 수밖에 없을 것같다. 

 

이런 사람이라면 어려운 사람을 돕는 연대의식보다는 자신을 즉 자신과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절박한 생각을 갖게 될 것이다. 선거때 어느쪽으로 바람이 불던 간에, 사회적인 변화에 의한 영향보다 그의 실존적인 동기에서 나온 입장이 강하게 작용할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보수적인 입장은 필연적으로 정치적 우파로 이어질 것이다.  

 

시청앞에서 반공 시위하는 극우파 노인들도 이와 다르지 않다. 그들은 가장 험한 시대를 살아온 세대이다. 식민지와 이차대전 한국전쟁 남북분단 보릿고개 군사혁명등. 나이가 70-80세정도라면 이런 경험을 다같이 갖고 있다. 게다가 천만 이산가족이라 불리는 이북출신들은 혈육이 남북으로 나뉘는 단장의 아픔을 겪으며 살아왔다. 이런 경험을 한 사람들이 진보좌파가 될수 있을까. 보수일 수밖에 없다. 그들 모두가 김상무이다.  

 

시청앞의 우익데모에 나온 완고한 노인들을 보고, 그들의 폭언을 전해들으며, 늙으면 빨리 죽어야 한다고 저주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정치적 행동에 반대하는 것과 그들이 왜 그렇게 됐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우리사회의 구성원이자 앞세대인 그들의 경험은 우리의 것이다. 이념이 발단이 된 문제는 이념에 대한 이해로서 치유될수 있다.

+ Recent posts